청년도약계좌는 정부가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만든 정책형 저축상품입니다. 매월 최대 70만 원까지 저축하면 정부지원금과 이자 소득을 더해 5년 후 최대 5,000만 원을 만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청년이 가입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나이, 소득, 가구 총자산 등 까다로운 조건을 충족해야 하죠.
이 글에서는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을 완벽하게 정리했습니다. 나이 요건부터 소득 기준, 자산 요건, 그리고 실제 신청 방법까지 단계별로 알려드립니다. 내가 가입 대상인지 5분 안에 확인해보세요!
서민금융진흥원 청년도약계좌 바로가기
서민금융진흥원 청년도약계좌 바로가기
청년도약계좌는 중소득 청년층의 중장기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2023년 6월부터 시행된 정책금융상품입니다. 기존의 청년희망적금보다 소득 기준을 완화하고 지원 금액을 대폭 확대한 것이 특징입니다.
가입자가 매월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 정부가 소득 수준에 따라 월 최대 2.4만 원(연 최대 28.8만 원)의 기여금을 추가로 지원합니다. 여기에 은행 이자까지 더해지면 5년 만기 시 목돈 마련이 가능하죠. 단, 중도 해지 시 정부 기여금을 받을 수 없으니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구분 | 내용 | 비고 |
---|---|---|
가입 기간 | 5년 (60개월) | 의무 납입 기간 |
월 납입 한도 | 최대 70만 원 | 자유 납입 가능 |
정부 기여금 | 월 최대 2.4만 원 | 소득 구간별 차등 |
예상 만기금액 | 최대 5,000만 원 | 만기 시 비과세 |
💡 전문가 팁
청년도약계좌는 중도 해지 시 정부 기여금을 모두 반환해야 합니다. 5년간 꾸준히 납입할 수 있는 여유 자금으로만 가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급전이 필요하다면 청년도약계좌 담보대출을 활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은 크게 3가지로 나뉩니다. 나이, 개인소득, 가구소득 및 총자산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 가입이 가능합니다. 하나씩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나이 요건
가입 신청일 기준 만 19세 ~ 34세 청년이어야 합니다. 단, 병역 이행 기간은 최대 6년까지 인정되므로, 군 복무를 마친 경우 만 40세까지도 가입이 가능합니다.
• 1990년생 남성 (군 복무 2년): 만 35세지만 군 복무 2년 차감 → 만 33세로 인정 ✅
• 1989년생 여성: 만 36세 → 가입 불가 ❌
• 2005년생: 만 20세 → 가입 가능 ✅
✅ 개인소득 요건
직전 과세기간(2024년 기준 2023년) 총 급여액이 7,500만 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금액이 6,300만 원 이하여야 합니다. 근로소득자는 연봉 7,500만 원, 사업소득자는 종합소득 6,300만 원이 기준선입니다.
소득 유형 | 기준 금액 | 확인 방법 |
---|---|---|
근로소득자 | 총 급여 7,500만 원 이하 |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 |
사업소득자 | 종합소득금액 6,300만 원 이하 | 종합소득세 신고서 |
프리랜서 | 종합소득금액 6,300만 원 이하 | 종합소득세 신고서 |
✅ 가구소득 및 자산 요건
가구 구성원 전체의 소득과 자산도 중요합니다. 가구 중위소득 180% 이하이고, 가구 총자산 3.45억 원 이하, 순자산 2.6억 원 이하여야 합니다.
가구원 수 | 중위소득 180% (월) | 연 환산 금액 |
---|---|---|
1인 가구 | 약 396만 원 | 약 4,752만 원 |
2인 가구 | 약 661만 원 | 약 7,932만 원 |
3인 가구 | 약 847만 원 | 약 10,164만 원 |
4인 가구 | 약 1,032만 원 | 약 12,384만 원 |
⚠️ 주의사항
가구원은 본인, 배우자, 부모(배우자 부모 포함), 자녀를 의미합니다. 형제자매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단, 세대 분리를 했더라도 실제 생계를 같이한다면 같은 가구로 인정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가입 조건을 충족했다면 이제 신청만 하면 됩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으며, 서류 준비도 간단합니다. 아래 단계를 따라해보세요.
서민금융진흥원 청년도약계좌 전용 홈페이지에서 '가입 자격 확인하기' 메뉴를 클릭합니다. 생년월일, 소득 정보, 가구원 정보를 입력하면 즉시 가입 가능 여부가 표시됩니다. 이 과정에서 개인정보 동의가 필요하며, 국세청과 연계하여 자동으로 소득을 조회합니다.
청년도약계좌는 18개 시중은행 및 저축은행에서 가입할 수 있습니다. 은행마다 기본 이자율이 다르므로 비교가 필수입니다. KB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NH농협은행 등 주요 시중은행의 이자율을 비교해보세요. 일반적으로 저축은행의 이자율이 더 높습니다.
선택한 은행의 모바일 앱 또는 인터넷뱅킹에서 '청년도약계좌' 메뉴를 찾아 신청합니다. 비대면 가입이 어렵다면 영업점을 방문할 수도 있습니다. 신청 시 신분증, 소득 확인 서류(원천징수영수증 또는 소득금액증명원)가 필요합니다.
월 1만 원부터 70만 원까지 자유롭게 납입 금액을 정할 수 있습니다. 소득이 적을수록 정부 기여금 비율이 높으니, 본인의 소득 구간을 확인하고 최대한 많이 납입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자동이체를 설정하면 매월 자동으로 입금됩니다.
가입이 완료되면 익월부터 정부 기여금이 자동으로 입금됩니다. 매월 통장을 확인하여 본인의 납입금과 정부 기여금, 이자가 제대로 들어오는지 점검하세요. 모바일 앱에서도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합니다.
💰 정부 기여금 지급 기준
정부 기여금은 소득 구간에 따라 차등 지급됩니다. 연소득 2,400만 원 이하는 월 2.4만 원(최대), 2,400만~4,800만 원은 월 1.8만 원, 4,800만~7,500만 원은 월 1.2만 원이 지급됩니다.
❓ 자주 묻는 질문 (FAQ)
- Q1.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 중복 가입이 가능한가요?A1. 아니요, 중복 가입은 불가능합니다. 이미 청년희망적금에 가입했다면 해지 후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탈 수 있지만, 청년희망적금의 정부 기여금은 받을 수 없습니다. 만기일이 얼마 남지 않았다면 청년희망적금을 유지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 Q2. 군 복무 기간은 어떻게 인정받나요?A2. 병적증명서나 복무확인서를 제출하면 됩니다. 군 복무 기간은 최대 6년까지 인정되며, 실제 복무 기간만큼 나이에서 차감됩니다. 예를 들어 2년 복무했다면 만 36세까지도 만 34세로 인정받아 가입할 수 있습니다.
- Q3. 중도 해지하면 어떻게 되나요?A3. 중도 해지 시 정부가 지원한 기여금을 모두 반환해야 하며, 기여금에 대한 이자도 받을 수 없습니다. 본인이 납입한 원금과 이자만 받을 수 있습니다. 단, 사망, 해외이주, 천재지변 등 불가피한 사유는 예외로 인정됩니다.
- Q4. 소득이 없는 대학생도 가입할 수 있나요?A4. 네, 가능합니다. 개인소득이 0원이어도 나이와 가구소득·자산 요건만 충족하면 가입할 수 있습니다. 오히려 소득이 낮을수록 정부 기여금을 더 많이 받을 수 있어 유리합니다.
- Q5. 은행별로 이자율이 다른데, 나중에 은행을 변경할 수 있나요?A5. 아니요, 가입 후 은행 변경은 불가능합니다. 처음 가입할 때 여러 은행의 이자율을 비교하여 가장 유리한 곳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저축은행의 이자율이 시중은행보다 0.3~0.5%p 높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 글에서 소개한 나이, 소득, 자산 요건을 모두 확인하셨다면 지금 바로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에서 가입 자격을 조회해보세요. 5년 후 5,000만 원의 목돈을 만들 수 있는 절호의 기회입니다!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