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를 소유하고 있다면 매년 또는 반기마다 납부해야 하는 세금이 바로 자동차세입니다.
납부 시기를 놓치면 가산금이 붙거나 번호판 영치 등의 불이익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납부 방법과 시기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자동차세 납부 방법, 위택스 납부 절차, 은행·ATM 납부, 그리고 납부 주기 변경 방법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1. 자동차세란?
자동차세는 자동차 소유자에게 부과되는 지방세로, 자동차의 배기량, 차종, 연식에 따라 산정됩니다.
지방자치단체가 부과하며, 세금은 해당 지자체의 지역개발, 교통 인프라, 환경 개선 등에 사용됩니다.
2. 자동차세 납부 시기
자동차세는 일반적으로 연 2회 정기 납부 또는 연납(일시불)으로 1월에 선납할 수 있습니다.
-
1월: 연납 신청 가능 (10% 할인 적용, 지역에 따라 다름)
-
6월: 1기분 정기 납부 (1월 1일 기준 소유자)
-
12월: 2기분 정기 납부 (7월 1일 기준 소유자)
※ 연납을 신청하면 자동차세를 한 번에 납부하고 일부 금액을 할인받을 수 있어 인기가 높습니다.
3. 자동차세 납부 방법
(1) 위택스(Wetax) 이용 방법
**위택스(www.wetax.go.kr)**는 지방세 납부를 위한 공식 온라인 납부 시스템입니다.
이용 절차
-
위택스 사이트 접속
-
로그인 (공동인증서, 간편인증 등)
-
[조회납부] > [자동차세] 선택
-
본인 차량 정보 확인 후 납부
-
카드·계좌이체·간편결제 선택 가능 (카카오페이·삼성페이 등)
→ 모바일 앱 ‘위택스’에서도 동일하게 납부 가능
(2) 은행 및 ATM 납부
은행 창구 납부
-
고지서를 지참하고 가까운 은행, 농협, 새마을금고 등 금융기관 방문
-
창구 직원에게 납부 요청 → 현금·카드 결제 가능
CD/ATM 납부
-
통합납부 가능 은행 ATM에서 [지방세 납부] 메뉴 선택
-
본인 주민번호 또는 전자납부번호 입력
-
세금 조회 후 카드 또는 통장으로 납부
→ 일부 ATM에서는 카드 납부만 지원하니, 은행별 기능 여부 확인 필요
(3) 인터넷 지로(Giro) 납부
www.giro.or.kr 또는 ‘지로 앱’을 통해 자동차세 조회 및 납부 가능
-
공인인증서 또는 간편인증 로그인 후 납부
-
자동이체 신청도 가능
(4) 자동이체 신청 (위택스 또는 지자체)
정기적인 납부가 번거로운 경우, 자동이체를 설정하면 매 납기일에 자동으로 출금되어 편리합니다.
-
위택스에서 신청 가능
-
관할 시·군·구청 세무과에 직접 신청도 가능
-
은행 창구에서도 지방세 자동이체 신청 가능
※ 자동이체일은 납부 마감일 하루 전(예: 6월 15일경)에 출금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4. 납부 방법 변경 가능한가요?
네, 자동차세는 연납 또는 정기 납부 방식 중 원하는 방식으로 변경이 가능합니다.
-
연납 신청: 매년 1월 위택스 또는 지자체에 신청 가능
-
기존 정기납부자도 연납 신청 가능 (단, 신청 이후에는 변경 불가)
-
자동이체 해지 또는 변경도 위택스 또는 지자체에서 가능
-
주소 이전 시 납부 지자체가 변경되므로 자동이체 등록도 새로 해야 함
5. 납부 확인 및 영수증 출력
-
위택스 또는 인터넷지로 로그인 후 → 납부내역 조회 가능
-
영수증은 PDF 다운로드 또는 출력 가능
-
은행 ATM 또는 인터넷뱅킹 이용 시 ‘지방세 납부내역’에서도 확인 가능
6. 자동차세 미납 시 불이익
-
3% 가산금 즉시 부과, 일정 기간 경과 시 중가산금도 추가
-
2회 이상 체납 시 자동차 번호판 영치 가능
-
고지서 수령 후 빠른 시일 내 납부 필수
마무리: 간편하게 납부하고, 할인 혜택도 챙기자
자동차세는 매년 반복되는 세금이지만, 위택스, 지로, 자동이체 등을 활용하면 번거로움을 줄이고 할인 혜택까지 받을 수 있는 똑똑한 납부가 가능합니다.
특히 1월 연납 제도를 활용하면 최대 10% 세금 할인도 받을 수 있으니, 시기를 놓치지 않고 미리 신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올해도 잊지 말고, 내 자동차세 스마트하게 납부해보세요.
.png)
0 댓글